2020년 제주미술제
1955년 최초로 제주도미술인연합단체인 ‘제주도미술협회’가 발족하였다.제주도미술협회의 설립 목적은 소박하고 순수한 모임으로 “제주미술의활성화와 미술인의 친목”으로, 이는 당시 제주미술계에 대한 자족이자 제주미술의 미래에 대한 막연하고 순수한 열정의 표현이었다고 여겨진다. 제주도미술협회가 발족되고 60여 년이 지난 지금, 여러 미술동인그룹과 다양한목적을 가진 협회가 설립되어 발전하였다.
제주동인의 역사는 제주미술의 역사이다. 예술창작 활동은 일반적으로 개인의영역에 바탕을 두지만, 공통되는 지향점의 추구는 소규모 공동체인 미술동인그룹을 조직하여 발전시켜온 역사적 증거는 많다. 제주도 역시 이런 역사의흐름과 같은 궤적을 가지고 있는데, 열악한 예술 환경에도 불구하고 몇몇이모여서 미술의 방법론을 연구하고 새로운 흐름을 만드는 다양한 활동을벌였다. 이를 통하여 제주를 명실상부한 예술의 섬으로 격상시키는 놀라운수눌음의 정신이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주미술계 토양에 훌륭한밑거름이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제주도립미술관에서 개최되는 25회 제주미술제 은 제주미술의출발이 되었던 제주동인의 흐름을 살펴보고, 제주미술의 역사와 현재 제주미술계의 현황을 짚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최근에 점점 더 개별화되어가는미술제작 현장에서 동인, 혹은 예술가 집단(공동체) 활동이 여전히 유효한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진지하게 고민하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한다.
제주미술인들의 가장 큰 축제인 제25회 전시는 ‘제주미술제조직위원회’와 ‘제주도립미술관’이 처음으로 공동 기획하여 지역미술인들과함께 상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제주미술의 발전을 함께 모색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계승하여 제주미술계의긍정적인 성장 동력에 힘을 보태고자 한다
2020년 제주미술제 예술감독 이 종 후
2020 제주미술제
기획전시실 1 – ‘동인의 창립과 모색’
본격적인 동인활동은 1972년 제주대학교 사범대학에 미술교육과가 신설되고 그 졸업생들이 배출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 젊은 미술인들이 미학·지역·동문 등을 바탕으로 공통적인 경향을 추구하며 동인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기획전시실 1> 에서는 제주에서 유의미한 출발점이 되었던 5개 동인의 작품을 전시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여성의 삶과 현실전’, ‘여성이라는 프리즘-신문보기’ 등 여성미술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기획으로 외연을 넓혀갔다.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도내 최장수 동인 중 하나이다.
당시 문화예술의 지역적 불균형을 해소하고 산남지역의 미술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취지로 발족하였다. 초창기에는 매년 한라산을 사이에 두고 서귀포와 제주시 권역을 넘나들며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고 이후 각종 기획전과 초대전을 통해 산남지역 미술현장을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였다. 서귀포 지역의 대표적인 현대미술동인이다.
기획전시실 2 – ‘동인에서 협회로’
<기획전시실 2>에서는 제주를 거점으로 제주에서 활동한지 5년 이상 된 동인과 소그룹, 그리고 현재 제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협회원들의 작품들이 영상 형태로 전시된다.
각각의 분야별 면모를 보면 한국화에서는 1981년 발족한 ‘뇌맥회’를 시작으로 1992년 ‘제주한국화회’가 창립되었고, 조각에서는 1989년 ‘제주조각회’가 창립된다. 후에 각각 ‘제주한국화협회’, ‘제주조각가협회’로 자리매김한다.
1990년대 초반 판화 붐이 제주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1992년 <제주-삿포르판화>전을 필두로 몇몇 판화전시가 이루어진다. 동인으로는 1991년 창립된 ‘5그루회’가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주판화가협회’가 창립된다. 그 밖에 ‘제주수채화협회’, ‘제주도예가회’ 등이 전공별 협회로서 현재 제주에서 꾸준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이다.
전공별 협회 외에 소규모 동인들의 활동도 지속된다. ‘삼무동인’, ‘열린미래동인’을 필두로 2000년대 이후 ‘창작공동체 우리’, ‘제주미술연구회’, ‘섬·여백회’, ‘미술동인 집’, ‘연(緣)’ 등이 동인으로서의 면모를 갖추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전공별 협회와 소그룹 외에 대규모 협회원들의 작품들도 전시된다. 현재 제주미술을 대표하는 협회로는 ‘한국미술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 ‘탐라미술인협회’, ‘한라미술인협회’, ‘한국미술협회 서귀포지부’를 들 수 있다.
1955년에 발족한 ‘제주미술협회’는 1982년 한국미술협회에 등록하여 사단법인으로서 ‘한국미술협회 제주도지회’로 자리매김하여 오늘날까지 제주의 대표적인 미술인 단체로 유지되고 있다.
1993년에는 ‘탐라미술인협회’가 정식 발족되었다. 4·3미술제를 비롯한 각종 기획전을 통해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며 제주미협과 더불어 대표적인 제주의 미술단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밖에, 1996년에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제주출신 작가들이 발족한 ‘재경한라미술인협회’가 있다. 후에 ‘한라미술인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여 수도권 외의 제주출신 작가들도 함께 활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1999년 서귀포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는 작가들이 한국미술협회에 사단법인으로 등록하여 발족한 ‘한국미술협회 서귀포지부’가 있다.
시민갤러리 – ‘서예특별전’로’
이후에도 ‘서귀포서예가협회’, ‘서귀포소묵회’, ‘우묵회’, ‘정연회’, ‘연우회’, ‘상묵회’ 등의 서예동인들이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갔다.
1990년대에 ‘제주서예가협회’가 창립되면서 제주 서예가들의 위상과 활동을 통합적으로 정립하게 된다. 이 밖에 한글을 기반으로 한 ‘제주한글서예사랑모임’ 등이 있다.
<시민갤러리>에서는 제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서예 동인들의 연혁을 소개하고, 그들의 작품을 영상으로 담아 전시한다.
문의
6307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 (연동)
Tel. 064 710 4300 Fax. 064 710 4269
http://jmoa.jeju.go.kr
https://www.facebook.com/jejumoa (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jeju_museum_of_art (인스타그램)